이 책은 정치ㆍ철학ㆍ종교ㆍ심리학 등 다양한 인문학 영역을 넘나들며 연구를 해온 강남순 교수가 ‘용서’라는 하나의 주제를 철학적으로 성찰한 책이다. ‘용서’라는 주제가 지금까지 주로 신학적 영역에서 많이 다루어져 왔고, 철학 분야에 있어서도 자크 데리다나 블라디미르 장켈레비치, 한나 아렌트 등의 단편적인 글을 통해 용서를 성찰한 사례는 있지만, 이렇게 하나의 주제로서 용서의 의미와 이해를 총체적으로 다뤘다는 점에서 이 책은 의미가 깊다.

저자가 용서의 개념에 대해 학문적으로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프랑스 철학자 자크 데리다의 글 〈용서에 관하여(On Forgiveness)〉를 읽고 난 후부터였고, 그 글을 보면서 “내가 용서를 얼마나 상투적으로만 생각했는지”를 생각해보게 되었다고 한다.

이 책은 현대사회에서 심각하게 논의되는 주제인 ‘용서와 화해’의 의미를 정치적ㆍ철학적ㆍ종교적으로 예리하게 탐색한다. 이 책은 단순히 철학적 의미로서의 용서를 넘어서 윤리적ㆍ철학적ㆍ정치적으로 그 의미를 확장시킨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인종차별 정책, 나치의 유대인 학살,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 첨예한 갈등을 겪고 있는 위안부 문제 등 폭력과 살상으로 점철된 어두운 역사 속에서 용서의 의미를 논의한다.

저자는 여기서 아주 중요한 두 질문을 들려준다. “용서란 죽음의 수용소에서 죽었다”는 프랑스 철학자 블라디미르 장켈레비치가 홀로코스트를 두고 한 말이다. 한나 아렌트 역시 처벌이 용서의 공통적 조건이며, ‘용서의 가능성’은 ‘처벌의 가능성’이 전제되었을 때 비로소 가능하다는 장켈레비치의 입장에 섰다. 반면, “용서란 오직 용서할 수 없는 것을 용서하는 것이다”는 자크 데리다가 한 말인데, 이는 무조건적 용서를 의미한다. 이 무조건적 순수성의 용서는 칸트적 의미에서 ‘도덕적 법률’이며, 레비나스적인 의미에서는 ‘무한한 책임성’이다. 용서할 수 없는 것을 용서하는 것, 그리고 화해할 수 없는 것과 화해하는 것이 바로 진정한 용서, 무조건적 용서의 정언명령이다. 이러한 점에서 무조건적 용서와 조건적 용서는 용서의 두 축을 이룬다고 저자는 말한다.

이 두 축은 분리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어느 한쪽으로 환원되는 것도 불가능하다. 다만 구체적 현실에서 책임 있는 정치적 행동과 결정을 하려면 무조건적 용서는 두 축 사이에서 끈기 있게, 지속적으로 절충하면서 영원한 참고의 축을 이루어야 한다고 이 책은 강조한다. 동녘. 값 14,000원

 

 

SNS 기사보내기
윤미연 기자
저작권자 © 뉴스 차와문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