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전당은 초의선사(1786~1866)열반 150주년기념/한국서예사특별전33으로 <초의선사草衣禪師 - 바라밀 다>를 9월 30일부터 11월 6일까지 서예박물관 역사상설실에서 연다. 이번 특별전에서는 <다산사경첩>(보물1683-1호,개인소장), <청량산방시축>(개인소장), <관세음보살여의주수>(개인소장)[사진1], <문수보살도>(범어서성보박물관소장), <선문사변만어>(개인소장), <죽로지실竹爐之室>(호암미술관소장)[사진2], <단연죽로시옥端硯竹爐詩屋>(영남대박물관소장) <전다삼매煎茶三昧>(남농미술관소장)[사진3]<초의행草衣行>(개인소장) <여백파서如白坡書>(함평군립미술관) 등과 초의선사 유품으로 <흑유黑釉 차 주전자>와 인장印章, 소장서책 등 초의관련 걸작 및 희귀유물 70여점이 공개된다. 이번 전시유물은 호암미술관, 범어사성보박물관, 동국대도서관, 남농미술관 함평군립미술관,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등 국공립박물관 사찰 개인 30여 곳에서 모은 것이다.

우리들에게 초의는 다성茶聖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초의는 다성 이전에 선장禪匠임을 잘 모르고 있다. 불화佛畵와 선묵禪墨은 물론 선시禪詩에도 뛰어난 업적을 남기고 있다. 우리가 잘 아는 <동다송>은 물론이지만 <선문사변만어> <관세음보살여의주수> <십일면관음보살상> <일암집>과 같은 선론과 선묵 불화 선시 등이 그것이다. 특히 다와 선, 시서화를 매개로 불가(佛家)를 넘어 유가(儒家)의 최고지성들과 스승 친구 제자로 격의 없이 교유하면서 조선시대 마지막을 장식하는 걸작들의 중심에 서서 다 같이 만들어 내고 있다. 바로 다산茶山 정약용, 자하 신위, 해거도인 홍현주, 추사 김정희, 소치 허련 등이 그 주인공들이다. 선(禪)을 키워드로 다(茶)와 시서화는 물론 교유를 유불(儒 佛)을 넘나들며 관통하고 있다.

다산과 초의 합작 시서화첩인 <<백운동도・다산도>>, 자하의 <남다병서> 경화사족들과의 시회 두루마리인 <청량산방시축> 해거도인에게 올린 <동다송>, 추사가 쓴 초의다실 <죽로지실>, 황상의 집을 소치가 그리고 초의가 교정한 <일속산방도> 등의 걸작들은 모두 초의를 중심매개로 만들어졌다. 이것은 신분질서가 와해되는 조선말기라 할지라도 그 힘이 여전한 조선사회에서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번 전시는 선다일여禪茶一如, 선묵일여(禪墨一如)의 장본인으로서 초의를 다양한 교유관계인물속에서 조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초의의 유가儒家스승인 다산茶山과 유불선儒佛仙을 넘나드는 통유通儒이자 도반道伴인 추사秋史, 그리고 19세기 여러 지성知性들을 초의와의 다연茶緣으로 살펴보았다. 그러면 초의선사가 150년 만에 이 땅에 다시 온 뜻은 무엇일까. ‘바라밀 다’, 즉 선(禪)과 다(茶), 시서화(詩書畵)가 하나라는 입장에서 초의사상과 문예세계를 교유의 사회관계망 속에서 유기적으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번 전시는 초의의 환생을 통해 물질문명物質文明에 병든 오늘날의 우리 심신心神을 선다일여禪茶一如로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를 우리 스스로에게 묻고 있다. 2016년 오늘날 우리가 소원하는 국가적 과제는 남북통일과 동아시아 평화를 이루어 내는 일이다. 빈부격차를 해소하고 세대간 다문화간의 갈등을 없애 모두가 잘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사통팔달 두루 다 잘 통하는 초의선사 같은 존재가 절실히 필요한 이유다.

 

 

 

SNS 기사보내기
이능화 기자
저작권자 © 뉴스 차와문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